1. MACD는 대표적인 추세 지표 중 하나로 단기 이평선과 장기 이평선 사이의 수렴과 발산의 정도를 수치화하고 이것의 단기 추세를 제거한 오실레이터를 계산함으로써 수렴 발산의 정도의 증감까지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2. 차트를 통해 추세를 파악하고 한발 더 나아가 추세의 강함과 둔함을 수치화하여 그것의 추세를 다시 계산함으로써 추세강도의 추세가 둔화될 시 추세 반전의 가능성을 한발 더 빨리 알아내고자 고안된 지표라 할 수 있습니다.

수학적 정의
1. 우선 EMA는 지수 이동 평균으로써 해당 날짜 동안의 종가를 평균하되 최근일에 가중치를 둔 평균입니다.
(EMA : Exponential Moving Average, 지수 이동평균)
2. MACD: 12일 EMA - 26일 EMA 시그널 : MACA의 9일 EMA 오실레이터 : MACD - 시그널
3. 위와 같이 정의하며 12, 26, 9등의 피라미터들은 변경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위의 수치를 많이 사용합니다.
4. 그림에서 처럼 MACD는 이평선의 차이기 때문에 선으로 보통 표시합니다.
5. 시그널도 마찬가지 이평선이기 때문에 선으로 표시합니다.
6. 하지만, 오실레이터는 MACD와 시그널의 차로써 0 근처에서
진동(오실레이션)하기에 보통 히스토그램으로 표현합니다.
정석적 정의
1. MACD는 단기 이평선에서 장기 이평선을 뺀 값으로써 장단기 이평선의 수렴발산의 정도를 나타낸다.
2. 장단기 이평선은 수렴과 발산을 반복하며 발산시에 MACD의 값의 절댓값은 커질 컷이며, 수렴한다면 0 에가까운 값으로 수렴할 것입니다. 그렇기에 MACD는 0을 기준으로 오르내리락 할 것입니다.
3. 단기 이평선이 장기 이평선을 상향 돌파해 상승 추세가 강할수록 MACD는 양으로 커질 것이며 하향 돌파해 하락 추세가 강할수록 음의 값으로 절댓값이 커질 것입니다.
4. MACD 자체만으로도 장단기 이평선의 수렴 발산의 정도를 볼 수 있으나 여기서 시그널을 뺀 오실레이터를 계산함으로써 수렴 발산 정도의 추세변화 분을 계산합니다.
5. 즉, MACD의 단기 평균, 단기 추세인 시그널을 MACD에서 제거해 줌으로써, 오실레이터는 주가의 장단기 이격의 추세 강도를 나타냅니다.
6. 즉, 오실레이터가 꺾여 감소한다는 것은 장단기 이격이 감소한다는 것이 아니라
이격은 증가하되(MACD는 증가) 증가하는 추세가 둔화됨을 의미합니다.
텔레그램 실시간 브리핑: https://t.me/chartsignal_kr
차그널 X 차상식 원데이 차트&시황
You can view and join @chartsignal_kr right away.
t.me
차상식 유튜브:https://www.youtube.com/@차트는-상식이다
차트는 상식이다
7년차 전업 트레이더 차트는 상식이다 입니다. 정확한 팩트에 기반한 분석을 지향하며, 전달하는 모든 정보도 팩트에 기반하여 전달하려 노력합니다. 구독자분들이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하실
www.youtube.com
차그널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rtsignal
차트 시그널
7년차 전업 트레이더 차트 시그널입니다. 정확한 팩트에 기반한 분석을 지향하며, 전달하는 모든 정보도 팩트에 기반하여 전달하려 노력합니다. 구독자분들이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하실 수 있
www.youtube.com
'짤막한 투자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4) | 2025.04.17 |
---|---|
피보나치 되돌림 (0) | 2025.04.15 |
RSI + 다이버전스 응용 (0) | 2025.04.11 |
RSI (상대강도지수) (0) | 2025.04.09 |
삼각수렴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