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일브리핑

5월 12일 비트코인 관점, 시황 브리핑

cgnxcss 2025. 5. 13. 16:13

, 위 사진들을 순서대로 한번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프랙탈 관점입니다,

이전의 상승파동이 이어진다는 전제 하에 피보나치 확장을 적용시켜 보았을 때

최종 목표가는 현재 약 113k정도로 체크가 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지금까지의 상승이 모두 프랙털로 전개가 되었기 때문에 현재의 강세 패턴만

유지해 준다면 충분히 추가적인 상승은 기대해 볼 만한 상황입니다.

 

두 번째 사진을 보시면 상승 삼각형 형태로

현재 차트가 전개되고 있는 걸 보실수가 있을 겁니다.

사실 가격이 너무 올랐고 보조지표도 모두 과매수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자리에서 떨어질 거다,하락이 나올 거다라며

숏을 들어갈 이유들을 일반적으로 찾게 됩니다.

 

당연한 얘기입니다, 많이 올랐으니 떨어질 때도 되었지 하며

반대의 이유를 찾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현재의 상승이 오랜 축적기 이후에 벌어졌다는 점을 고려해 본다면

상승의 힘이 단기적으로 며칠 올랐다가 마는 것이 아닌

아예 추세전환을 일으키는 상승일 수도 있다는 걸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굳이 하락할만한 근거를 찾지 않고,

상승 쪽으로 계속 바라보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 세 번째 사진입니다.

 

비트코인은 최근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 주에 걸쳐 뚜렷한 상승 추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과거 가격의 로그 수익률 분포를 기반으로 미래 가격 구간을 예측해 보자면, 이 사진처럼

아래처럼 세 가지 색(녹, 황, 적)으로 구분된 밴드가 나오게 됩니다.

각각 ±1σ, ±2σ, ±3σ(표준편차) 구간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비트코인은 지난주 저점 약 97,000 USDT 부근에서 시작된 랠리로 현재 104,500 USDT까지 끌어올린 뒤 횡보 조정 구간에 진입했습니다.

 

상승 모멘텀이 여전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단기적으로는 녹색 상단(108,000 USDT) 돌파 시 황색 상단(115,000 USDT)까지 빠르게 열릴 가능성이 크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볼린저 밴드나 RSI 등 다른 지표들이 과열 신호를 보이고 있어, 녹색 하단(101,000 USDT) 아래로 밀릴 경우 100,000 USDT 심리선 재시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이런 근거들보다는 전체적인 방향성 자체가 상승이기 때문에

숏에 강하게 베팅하는 방향으로는 가지 않는 것이 좋다고 여전히 생각이 듭니다.

 

중장기적으로는 ±2σ(95,000~115,000 USDT) 구간 내에서 등락을 반복하며 상승을

할 것이라고 보이고 있으니, 조정이 나오더라도 90,000쪽까지 하락은

오히려 기회로 생각하고 접근해보도록 합시다.

위 차트는 비트코인의 4년짜리 메가 사이클(파란색) 안에, 더 작은 단기 프랙털 사이클(갈색, 빨간색)이 반복되고 있는 데이터입니다.

각 사이클은 네 단계Accumulation(축적) Markup(상승) Distribution(분배) Bear Market(조정)으로 나뉘고, 메가 사이클은 약 4, 단기 사이클은 대략 812개월 주기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2025년5월) 기준으로는

2022 11월 저점 이후 축적기를 거쳐왔고,

 

4년 주기 메가 사이클의 핵심 상승 구간(Markup)에 있으며, 단기 되돌림은 매수 기회로 삼되, 2025 10월경 메가 사이클 고점에서는 이익 실현을 준비하는 전략이 당연히 유효하겠습니다.

따라서 매도를 지금 생각하실 필요는 전혀 없는 단계입니다.

이 데이터를 간단하게만 설명드리자면,검은색 선으로 표시된 비트코인 가격 위에, 파란색 선(채굴자 매도 압력 지표)과 점선으로 그려진 상, 하단 밴드를 함께 표시한 데이터입니다

 

붉은색 영역은 높은 매도 압력(High Miner Sell Pressure) 구간, 초록색 영역은 낮은 매도 압력(Low Miner Sell Pressure) 구간을 의미합니다.

 

현재는 2024년 이래 가장 낮은 채굴자 매도 압력 발생 중입니다.

 

이 데이터의 낮은 값은 채굴자들이 코인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가격에 긍정적인 신호라고 보시면 됩니다.

 

매도 압력 완화는, 쉽게 랠리 지속 기대감이 강화될 수 있는 신호입니다.

과거에도 이 구간에서 대규모 랠리(20 k 30 k, 30 k 40 k)가 이어졌습니다.

 

 

지표가 하단 밴드 근처에서 반등하는 모습이 뚜렷해,

100 k 부근 지지 확인 시 추가 매수 관점입니다.

회색 실선은 이더리움 가격, 보라색 세로 막대는 Accumulation Address(장기 보유, 축적 지갑)로 유입된 ETH량을 나타냅니다.

 

최근 거대한 스파이크(화살표) 하나가 눈에 띄는데, 시황 관점에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Accumulation Addresses, 간단하게 풀자면

주소 잔고 규모가 일정 기준(10~10,000 ETH) 내 이면서

장기 보유 성향을 보인 고래들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 한두 거래일 동안 쏟아진 매집 규모는 과거 201718, 2020~21년 조정 국면 초기에나 보이던 대규모 축적 신호와 맞먹거나 이를 능가하는 수준입니다.

 

 

이 스파이크가 발생한 시점의 ETH 가격은 약 2,500~2,700 USD 사이. 과거에도 이 가격대 주변에서 축적 세력이 대거 진입하며 바닥을 다진 뒤 랠리가 전개된 바 있습니다.

 

2018 12월 저점( 80 USD), 2020 3월 저점( 100 USD) 등에서 유사한 대규모 축적 유입이 관찰된 후 50~100% 이상 급등

 

최근 2022년 하락장에서 회복 첫 국면( 1,200 USD1,800 USD) 역시 축적 지갑 유입 확대로 반전되었습니다.

 

, 장기 세력이 현물 매집을 강화했다는 점은, 현 시세가 축적 적정 밸류에이션 구간임을 의미합니다.

 

2,400 USD 부근에서 가격이 안정화될 경우, 추가 분할 매수 기회로 삼을 수 있으며

과거 축적 이후 랠리 평균 상승폭( +40% 3,400~3,500 USD)을 생각해 보면

 

축적 지갑군의 신뢰도가 높은 만큼, 6개월~1년 관점에서 4,000 USD 이상 장기 상승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Phase 1 Bit coin주도 구간의

핵심 특징은

디지털 금으로서의 위상이 부각되며, 자금 흐름이 비트코인으로 몰려 가격이 급등

전통 금융·기관 투자자들의 진입 신호가 먼저 포착됩니다.

 

안전 자산 성격이 강조되는 국면에서 비트코인은 리스크 자산 대비 상대적 강세를 보이고

기관 수요(ETF 승인·대형 펀드 발표 등) 이벤트가 상승 트리거가 되며

 

이 시점 후반부에 이더리움에도 자금이 일부 유입되지만, 비트코인을 따라잡기엔 모멘텀이 약하다가

이더리움의 잠재력이 시장에 점차 인식되기 시작합니다.

 

Phase 2 Ethereum 주도 구간(현재)입니다

핵심 특징으론

이더리움이 비트코인 대비 상대 강세를 보이며,

상승률이 높다는 이야기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디파이·NFT·웹 3생태계 확산으로 수요가 급증을 하며

이더리움은 기술적, 펀더멘털 호재(머지 이후 스테이킹 리워드, 레이어2 확장 등)

가격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 구간에서 ETH/BTC 비율(이더리움 상대 강도)이 뚜렷한 상승세를 타면 Phase 2 진입 확인이 가능한데요, 현재는 확실히 Phase 2라고라고 볼 수 있습니다.

위 차트가 바로 ETH/BTC 비율 차트입니다.

바닥권 반등이 정확하게 진행 중인 게 확인됩니다.

 

오늘의 결론

 

 A. 비트코인을 LogNormal Forecast로 봤을 때는,

Log-Normal Forecast 지표의 ±1σ(녹색 밴드) 상단(108 k) 돌파 시

추가 랠리 기대 가능,

단기적으론 ±2σ(95 k~115 k) 구간 내 움직임 예상. 115 k 돌파 시 메가 사이클 상단(120 k 이상)도 열릴 수 있다는 점 참고 해두시면 됩니다.

 

사이클 분석으로 봤을 땐,

2022 11월 바닥 이후 ‘축적→상승’ 중인 상태 2025 10월 고점 예상

대 추세에서 상승 추세는 유효

 

B. 이더리움의 축적 주소 유입(Inflows into Accumulation Addresses)을 보면

최근 5,000~6,000 ETH 규모의 장기 축적 지갑 유입이 발생 중입니다

 2,500~2,700 USD에서 발생 과거 바닥권과 유사한 장기 매집 신호라고 판단됩니다.

 

과거 사례를 보면 대규모 유입 후 40% 이상 랠리(1,2001,700 USD)가 나왔으니 이번에도 충분히 장기 상승 가능성 열려있습니다.